2020. 6. 24. 21:25ㆍMTB/MTB 강좌
자전거 정비사 자격증이 뭐야?
자건거를 정비할 때도 자격증이 필요할까?
자동차 정비를 위해서는 자격증이 필요하다. 물론 국가공인자격증이다.
종류도 다양해서 처음에는 응시자격 조건이 없는 기능사부터 취득해야 한다. 이후 경력과 지식이 축적되면 기사, 기능장 순으로 자격증의 단계가 높아진다.
그렇다면 자전거의 경우는 어떨까?
일단 자전거 동호회의 라이딩을 따라가 보면 나이와 상관없이 라이딩 경력(?) 많은 고참 라이더의 '카더라' 식의 정비 노하우가 진리로 통한다. 자전거의 평소 유지 관리 비법부터 까다로운 변속기 트러블에 이르기 까지 그분들의 '말씀' 한 마디는 라이딩 좀 한다는 자전거 라이더에게는 가뭄 속 단비와도 같다. 그도 그럴 것이 웬만한 자전거 샵에서는 공임을 지불하지 않으면 좀처럼 정비/유지에 관한 팁을 듣기도 어려울 뿐더러, 이게 비싼 공임비와 부품값을 지불하고라도 뜯어서 바꿔야 할 문제인지 그냥 닦고 조이기만 해도 더 쓸 수 있는 문제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게다가 똑같은 자전거 소음 문제인데 어느 샵에서는 샥을 바꿔야 할 만큼 심각한 문제이고 어느 샵에서는 고무링 하나만 바꾸면 해결되는 간단한 일이다. 이유는 판매를 주목적으로 하는 자전거 샾에는 자전거를 오래동안 만져본 '사장님'은 있어도 전문적인 정비 지식이 있는 '정비사'가 없기 때문이다. 오랜 시간동안 다져진 라이딩 경험 위주의 문제 해결 방법을 적용하다보니 각 샵마다 해결 방법이 가지 각색이다. 그나마 요즘같이 MTB 매장이 줄어들고 있는 시절에는 마땅이 정비를 의뢰 할 곳을 찾기도 힘들다.
로드이건 MTB 이건 라이딩 시간이 많아지면 자연스레 정비에 관심이 가게 마련이다. 자동차 정비를 위해서는 국가공인 자격증이 있는 정비사에게 비용을 지불하고 맏기면 그만인데 자전거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아직 국가공인 자격증이 없다. 우리나라만 그런 것은 아니다. 자전거 선진국이라는 미국에도 국가 공인 자전거 정비사라는 것은 없다. 그런 것을 만들고 구축할 만큼 시장이 크지도 않고 무엇보다 그럴 정도로 부품과 정비의 표준화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동호회 수준의 일반인이라도 충분히 전문적인 정비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여기서 정비 지식이란 자전거 정비샵을 운영할 정도의 전문지식이 아니라 내 자전거를 닦고 조일 수 있는 정도의 기본 지식이다. 단지 경험 많은 선배 라이더의 근거도 출처도 없는 '비법'이 아니라 제조사 메뉴얼 정도는 이해하고 그에 따른 유지 관리, 정비를 할 수 있는 지식.
자전거 정비가 필요해?
내 꿈은 나이 60이 되도 풀페이스 헬멧을 쓰고 MTB 파크에서 테이블 탑 흉내를 내는 것이다.
비록 2층 높이의 점프와 드롭을 밥 먹듯 하는 레드불 영상 같이 높이 솟구치며 자전거를 비틀 수는 없어도, 울창한 산길(우리는 이 길을 Singletrail 이라고 표현한다.)을 내려와 어디 안다치고 조그만 점프를 해낼 수 있는 그런 라이더. 그런데 그럴려면 틈틈이 라이딩 훈련과 함께 기본 정비 지식을 쌓아야만 한다. 몇십만원 주고 구입한 생활형 MTB 쯤이야 굳이 시간 들여 정비를 하기 보단 교체 하는것이 훨씬 경비 면에서 이득이겠지만 경력이 쌓여서 내 맘에 쏙 드는 고급 MTB를 가지고 있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언제까지 귀동냥으로 내 자전거를 관리할 것인가?
어디서 배울건데?
먼저 애기한 바와 같이 국가공인 자격증이 없다. 대신 민간자격증은 있다.
체계적으로 구성된 학습목표를 토대로 각종 부품에 대한 이해과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잘 짜여진 교육을 이수한다면 내가 타는 자전거 쯤은 본인이 직접 정비하고 관리할 수 있다.
현재 민간자격증을 관리하는 한국 직업능력개발원 웹사이트 (https://www.pqi.or.kr/int/intRegSysView.do)에는 5개의 발급기관이 등록되어 있고 이 중에서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관련 교육을 수행하고 꾸준히 수료생을 배출하는 기관은 3개이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겠지만 고용노동부 직업훈련포털에 등록되어 있으면서 가장 많은 수강생의 리뷰를 보여주는 곳이 '한국자전거 기술학원' (http://www.kbti.co.kr) 이다.
앞으로 몇 회에 걸쳐 '한국자전거 기술학원' (http://www.kbti.co.kr) 강의를 리뷰 해본다.
참고로 이 강의는 고용노동부 내일배움카드를 이용해 국비 지원을 받는 자전거 정비사 1급 강의 내용이다. 본인이 고급 MTB를 가지고 있거나 구입 할 계획이 있다면 꼭 챙겨보도록 하자.
'MTB > MTB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니쉬라인과 함께 체인을 깨끗하게 관리하자! (0) | 2014.02.03 |
---|---|
나의 서스펜션, 정기적인 점검으로 관리하자. (0) | 2013.12.08 |
자전거 타이어, 종류와 선택 가이드 (0) | 2013.12.08 |
산악자전거 대회, 재미있게 보는 방법은? (0) | 2013.12.08 |
Essential Mountain Biking Skills (1) | 2013.07.26 |